김성연 - Sungyeon Kim
Sungyeon Kim explores the "boundary of body " and resets the relationship between herself, society, starting with questions about the organization.
For Sungyeon Kim, "body" is sometimes treated as a physical substance, or as an extremely personal psychological phenomenon or social being.
In the work, miseens and objets play a role in connecting them, sometimes even expanding the segment of the body that is being divided. The question of existence and the question of aliveness leads to the question of others rather than being isolated by the question of one individual.
As a result, Sungyeon talks about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that makes me realize that I exist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majority (community). The narrative of the "body" in the work goes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body's own ontology in order to eliminate the possibility of myself being perceived as a divided being in this context. In this process, the body that is dealt with exists as a social product and in order to exist on its own, it looks at and recognizes the existence of others.
Objects that appear as a way of perceiving others capture the atmosphere (visible/non-visible) that occurs when my "body" and others' "body" encounter, and reveal or visualize forms that are extremely deep.
As a medium of work, I conducting experiments on the way the work is delivered and the atmosphere and interaction between the audience by using performances, videos, installations, photographs, etc. that directly reveal it, choosing various media and breaking boundaries.
김성연은 “몸의 범주”에 대하여 탐구하며 이를 구성하는 것으로부터의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스스로와 타자, 사회의 범주와 관계를 재설정 한다.
김성연에게 “몸”이란 때론 육체적인 물질로서의 몸으로서 다루어 지기도, 지극히 개인적인 심리현상이나 사회적인 존재로서 다루어지기도 한다.
작업에서 미장센들과 오브제들은 이를 잇는 역할을 하며 때론 오히려 분열되고 있는 몸의 범주를 확장 하기도 한다. 존재에 대한 질문과 살아있음 (aliveness) 에 관한 고찰은 한 개인에 대한 물음으로 고립 되기보다 되려 타인에 관한 고찰로 이어진다.
이로 인하여 김성연은 나 자신이 존재함을 인지하게 하는 타자와의 관계와 다수 (공동체) 와의 관계에 대한 관계성을 이야기한다. 작품에서 등장 하는 “몸” 의 서사는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나 자신이 분열된 존재로 인식될 수 있는 여지를 탈락시키기 위해 몸 자신의 존재론을 성립화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다루어지는 몸은 사회적인 산물로 존재하며 스스로 존재하기 위해 역으로 타인의 존재를 살피고 인식하게 된다.
타인을 인식하는 방법으로서 등장 하는 오브제들은 나의 “신체”와 타인의 “신체” 가 맞닥뜨렸을 때 발생하는 (가시적/비가시적) 기류를 포착하고 지극히 깊숙한 것을 드러내거나 보이지 않는 형태를 가시화한다.
작업의 매체로는 이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움직임이 담긴 퍼포먼스와 영상, 설치, 사진 등을 사용하고, 자유로운 매체를 택하고 경계를 허묾으로서, 작품이 전달되는 방식과 이를 통한 관객들 사이의 기류 및 상호작용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Education
1999
2014
2014~
2017
예원학교 Yewon school - Fine art
서울예술고등학교 Seoul art high school - sculpture
2019~
2020
2017~
2021
Academy of Fine art in Prague - Intermedia 2 studio
한국예술종합학교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 - fine art BA
Exhibitions
2014. 9
2015. 2
2016. 7
2018. 6. 8
2019.6.12~14
Time of Sight - Seoul metro gallery. South Korea
Space - Songwon Art Center. Seoul. South Korea
Futuro - Gallery d'arte. New York
춤과 안무 Dance and Choreography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소극장, Seoul. South Korea
Photography and Holography - B104 gallery. Seoul. South Korea
2019.10.1~4
내가 나일 확률 - 복도갤러리 hallway gallery. South Korea
the probability that I'll be my own
2020.12.21~31
2021.9.29~10.3
Canverse 5th Exhibition (on/offline). Chosobooks. Seoul. S. Korea
23. 10. 2021
Estrogenious Festival. Kraine Theater. New York, NY. USA
11~12. 12. 2021
2022. 01. 4~16
She Walks the Air IIX. Revson Plaza. New York, NY. USA
2022. 23~28. 02.
방학 숙제 Vacation Homework. - 플렛폼 팜파. Platform Pampa. Seoul. S. Korea
2022. 26. 02~31. 03.
Take-Off to Art-Space! (on/offline). Spatial(Metaverse) / erolpa. Seoul.
2022. 18~20. 03.
방학 숙제 (앵콜전) Vacation Homework (encore). - 공간 일상. Place Stay Ilsang. Seoul. S.Korea
2022. 6. 04~1. 05.
Out of Crosshair. Faction 팩션. Seoul. S. Korea
2022. 07
Veggie Love (upcoming). 175 gallery. Seoul. S. Korea
Workshop
2021
2021
Between Skin (Co-Choreo-lab 선정) . 서울무용센터Seoul Dance Center. Seoul. South Korea
김성연 X TDCC, 몸&꿈 워크샵 (Body&Dream Workshop)
Bibliography
2020
Publish
2021
Film
2019
2019
2019
2019
2020
데구르르 쩍 풍덩 / watermelon - art director, makeup
The Show Must Go On - art director
세개의 나이/ Three different ages - art director
영감/Old man - art director
Contact
Mangdoongjjang